부동산을 가족에게 넘길 때 가장 먼저 마주하는 벽이 바로 증여등기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증여등기 절차, 필요 서류, 취득세·등록면허세·증여세 계산 포인트를 한 번에 정리합니다. 사례별 주의점과 체크리스트까지 담았으니 지금 확인해보세요.

증여등기란? 기본 개념
증여등기는 증여계약에 따라 부동산 소유권을 무상으로 이전하면서 등기부에 그 사실을 공식 등록하는 절차입니다. 과세표준은 통상 시가표준액(주택·토지) 등 관련 법령의 기준가액을 따릅니다.
참고로 부담부증여등기라고 하여 증여자 채무도 함께 인수하면서 부동산을 증여 받는 절차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한번 더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증여 등기 절차 한눈에 보기
Step 1. 사전 세금 점검
- 조정대상지역 내 3억 이상 주택 증여 시 취득세 12%
- 1세대 1주택자 → 배우자·직계 증여 시 3.5% 기본세율
- 무상취득의 취득세 납부기한: 달 말일부터 3개월
Step 2. 서류 준비
증여계약서, 인감증명서, 등기필정보, 주민등록초본 등 필수.
Step 3. 취·등록면허세 납부
증여등기 신청 전에 반드시 납부해야 하고, 만약 납부하지 않으면 등기가 완료되더라도 취득세 미납부로 인한 과태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tep 4. 등기 신청(방문·전자)
인터넷등기소 e-form 공동신청 가능.

증여 등기 필요 서류 체크리스트
- 증여계약서 원본 및 사본
- 증여자: 주민등록초본, 인감증명서, 인감도장, 등기필정보
- 수증자: 주민등록등(초)본, 도장
- 토지대장·건축물대장
- 취득세 납부영수증, 등록면허세 영수증
증여 관련 세금 완벽 정리
① 취득세 — 3.5% 기본, 주택은 예외 있음
- 주택: 조정대상지역 3억 이상 → 12%
- 배우자·직계 증여 → 3.5%
② 등록면허세 — 무상이전 1.5%
③ 증여세 — 공제한도 및 누진세율

실무 팁 & 체크리스트
- 세금 시뮬레이션 필수
- 부담부증여는 대가 지급 증빙 확보
- 기한 준수(60일/무상 3개월)
- 서류 발급일 유효성 확인

결론: 증여 등기, 이렇게 하면 빠르게 끝납니다
- 세율 및 예외 확인
- 계약서·서류 준비
- 취득세·등록면허세 납부
- 인터넷등기소 e-form 신청
보다 자세한 증여 등기 정보는 여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