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친지 부동산 증여, 꼭 알아야 할 증여등기 절차 5단계
가족이나 친지에게 부동산을 증여하는 경우, 단순한 마음의 표현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증여등기절차를 통해 부동산 명의를 이전해야 합니다.
하지만 증여등기는 일반 매매등기와 달리, 세무 신고, 서류 준비, 법적 절차 등에서 주의할 점이 많아 꼼꼼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증여등기 절차를 실무자의 시각에서 단계별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드릴게요.
1단계: 증여계약서 작성
- 증여자와 수증자가 서명·날인한 문서 필수
- 증여 대상 부동산, 증여 조건(무상임 명확히), 증여일자 구체적 기재
- 계약서 작성 시 인감도장 사용과 인감증명서 준비 필요
핵심포인트: 증여계약서는 등기 신청 시 필수 제출 서류이며, 법적 분쟁 예방을 위해 정식 문서로 작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단계: 가족관계 및 부동산 확인 서류 준비
- 증여자·수증자의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등 신분증명 서류 준비
- 증여 대상 부동산의 최신 등기부등본 발급
핵심포인트: 서류의 정확성과 최신성이 등기 접수 시 거절 방지의 기본입니다.
3단계: 증여취득세 신고 및 납부
- 취득일이 속하는 달 말일부터 3개월 이내 관할 시·군·구청에 신고 및 납부
- 미신고 시 과태료 부과 및 등기소가 접수 거부 가능
핵심포인트: 신고 기간 내 신고와 납부를 하지 않으면 등기 진행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4단계: 등기신청서 작성 및 제출
- 등기신청서에 증여자 인감도장과 수증자 도장 날인 필요
- 관할 등기소 방문 또는 변호사 대행 신청
- 제출서류: 증여계약서, 인감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등기부등본, 취득세 납부 영수증 등
핵심포인트: 등기신청서 내용과 제출 서류가 일치하는지 반드시 재확인하세요. 작은 오타도 등기 지연 원인이 됩니다.
5단계: 등기완료 확인 및 사후 관리
- 등기 완료 후 등기필증(등기권리증) 반드시 수령해 안전하게 보관
- 부동산 명의 변경 확인 후 재산세, 관리비 납부 정보도 업데이트
핵심포인트: 등기 완료 후 서류 분실 등으로 인한 권리 행사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증여등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등기 서류 하나 빠지면 접수 불가해요 반드시 확인할 체크리스트들 (2) | 2025.08.05 |
---|---|
부동산 증여등기 서류와 절차 (0) | 2024.07.19 |
증여예약가등기 신청할 때 필요서류 안내 (0) | 2020.06.07 |
증여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신청에 관하여 (0) | 2020.05.30 |
부담부증여등기 신청할때 필요한 서류 (0) | 2020.05.24 |